Disentangling by Factorising


WHY?

Beta-VAE에서는 q(z|x)와 p(z)의 KL divergence에 추가적인 penalty를 줌으로서 z간의 독립성을 유도하여 disentangling을 이루었다. 하지만 기존의 vae보다 reconstruction 성능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WHAT?

위의 KL divergence는 다음과 같이 두 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E_{p_{data}}[KL(q(z|x)\|p(z))] = I(x;z) + KL(q(z)||p(z))\\ 위에서 I(x;z)항은 x, z의 mutual information을 의미하는데 이에 penalty를 줄 경우 x와 z의 공통 정보량이 적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image 그리하고 본 논문에서는 위의 KLD에 penalty를 주는 대신 기존의 VAE의 식에 q(z)의 독립을 강제적으로 유도하는 Total Correlation항을 추가하였다. TC(z) = KL(q(z)\|\bar{q}(z)) = E_{q(z)}[log\frac{q(z)}{\bar{q}(z)}] \approx E_{q(z)}[log\frac{D(z)}{1 - D(z)}]\\ \bar{q}(z) := \Pi_{j=1}^{d}q(z_j) 위 식에서 \bar{q}(z)는 z의 각 d마다 batch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들을 permutation함으로써 근사하였다. 만약 z의 각 항이 독립이라면 데이터끼리 섞더라도 영향이 없어야 한다.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image 또한 Beta VAE에서 제안한 metric의 한계를 보완하여 disentanglement를 측정하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metric을 제안하였다. image

So?

이를 통하여 reconstruction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factorize을 해낼 수 있게 되었다.

Critic

논문의 결론에서 스스로 밝히지만 disentanglement가 z간의 독립으로만 이루어 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z의 모든 변수를 독립으로 가정하지 않고 일부만 독립으로 가정하고 시험해 보면 좋을 것 같다.

Kim, Hyunjik, and Andriy Mnih. “Disentangling by factorising.” arXiv preprint arXiv:1802.05983 (2018).



© 2017. by isme2n

Powered by aiden